AI 기술이 조직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으면서, 그 윤리적 책임 역시 단순한 권고 수준을 넘어 실제 성과의 일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AI 윤리 컨설턴트’는 기술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향, 불투명성, 사생활 침해 등 윤리적 문제를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기술 개발팀이나 정책 부서와 달리, AI 윤리 컨설턴트의 업무 성과는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윤리 컨설팅의 결과를 주관적 해석에만 맡길 수는 없습니다. 윤리 문제는 기업의 평판, 규제 대응력, 고객 신뢰도 등과 직결되기 때문에, 컨설턴트의 개입이 가져온 변화와 효과를 명확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바로 그와 같은 목적에서 출발해, A..